월요일, 12월 10, 2007

과총 선정 2007년 올해의 10대 과학기술 뉴스

이제 연말이 되다보니 올해의 ~~대 사건, 뉴스 등이 보이기 시작하는
것 같다. 해마다 요즘이 되면, 지금은 없지만 어렸을 때 부모님과 보았던
10대 가요제가 생각이 나곤 한다. 과거의 향수를 떠올리며 (?) 올 해의
10대 과학기술 뉴스를 올린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보시길..


1. 핵융합 실험로 ‘KSTAR’ 본격 가동

2. 세계 최초 ‘용광로 없는’ 파이넥스 공법 상용화

3. 세계 최초 30나노 64기가 낸드플래시 메모리 개발

4. ‘와이브로’ 기술 3G 국제표준 채택

5. 청소년 과학 실력 추락과 이공계 대학 개혁 바람

6. 장기기억 형성 단백질 발견

7. 한국 온난화 심화와 기상 오보 논란

8. 세계 최고 효율 태양전지 개발

9. 기술유출 논란과 기술유출방지법 시행

10. 최다 안드로메다은하 구상성단과 퀘이사 발견

금요일, 12월 07, 2007

체코에 가기 전 볼만한 싸이트

두 달 전쯤 체코 프라하에 다녀왔는데 가기전에 이 싸이트에 들렀다면 맛있는 맥주를 마시고 오는 건데 그랬다.. 나 같은 후회를 하지 않도록 혹시 이 페이지를 보시는 분이 있다면 꼭 들어가 보길 바란다.

일요일, 11월 25, 2007

미래 연구망 -유럽, 미국, 중국-

1. EARNEST Study

2. 유럽 GEANT 3

3. 중국 CNGI

4. 미국 Advanced Networking R&D plan

가트너의 2008년도 10대 전략 기술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

1. Green IT

2. Unified Communications (UC)

3. Business Process Management

4. Metadata Management

5. Virtualization 2.0

6. Mashups & Composite Applications

7. Web Platform & WOA

9. Real World Web

10. Social Software

화요일, 10월 16, 2007

GLORIAD newsletter May 2007 issue - dvNOC

GLORIAD Developing the dvNOC: Distributed Virtual Network Operations Center

International networking has evolved into an essential piece of the infrastructure supporting

global R&E cooperation. It is both “conveyed by” and a causative agent in the globalization of science. The degree and level of integration of international science and education collaboration will only accelerate in the years ahead. The demands upon the R&E infrastructure – and most fundamentally, the underlying network – will only increase.

Hybrid Services

The necessity of providing a set of hybrid network services is becoming ever more important. While a general routed infrastructure providing simple Layer 3 services will continue to meet the needs of the vast majority of the R&E community, there is a growing set of users, communities and applications that require specialized services that we are trying to provide with Layer 1 and Layer 2 infrastructure managed by the international GLORIAD team and its partners throughout the GLIF community. For many in this growing community the need is for high-capacity, highly reliable, end-to-end dedicated services for specific durations of time – whether for the transfer of massive amounts of data or the control of remote instrumentation or the delivery of quality video or the development of a better integrated supercomputing fabric. These needs are simply not met by general, shared Layer 3 services. If programs such as GLORIAD do not provide such services, the scientists and engineers will have to build – at great expense and with limited network expertise – these same networks. Hybrid architecture for the evolving R&E network brings both a rich set of services but an equally rich set of management problems. The biggest

challenge lies not in the technology but in the management model. When the global R&E network was a very small set of international exchange points with a limited number of routers and relatively simple exchange policies, management of global networking was manageable. With the proliferation of network circuits, equipment, countries and national players, the management of Layer 3 networking globally has become more complex. With a growing set of customers needing specialized, dedicated, end-to-end services, existing models of human and technical infrastructure will not be sustainable.

“Where we actually manage to get things done primarily results because of the “hero efforts” of the network engineers.”

Changing Needs

Centralized management might well reap benefits for comparatively smaller national NOCs, but the sheer size and number of players involved makes this model unsustainable for international networking, whose main characteristic is no central authority for building, managing and growing the networks. And while national network operators do cooperate with other national network operators on many levels, without an established cooperative management model, high levels of visibility into internal networks for troubleshooting and other management tasks are not permitted, and control of network equipment is certainly not afforded to other national operators. Where we actually manage to get things done primarily results because of the (expensive)

“hero efforts” of the network engineers. Establishing and managing specialized services that cross one or more international boundaries has already presented difficult challenges and these challenges will continue as global networking becomes ever more complex.

Three Scenarios

1) Continuing the existing decentralized model based on best practices and hero efforts. Given the increasing complexity of the underlying infrastructure and the increasing demand for both advanced and basic network services, this scenario will inevitably have to transition into one of the other two.

2) A centralized and controlled model of international network management. This is being attempted by major national and international networking efforts. The ongoing consolidation of

these various efforts suggests a more monolithic approach toward global network management. This has as one of its fundamental advantages the simplicity of centralized control and may yield greater network service reliability in the short term. There are many risks to this approach, however, among them that centralized efforts tend to limit and at times even stifle innovation, be it individual, regional or national in scope. The “we will build it for you” idea is appealing on some level, but innovators and the high-end applications that are on the leading edge of discovery and drive the future of networking are better served by a model that can by its nature be highly customized.

3) A collaborative distributed model that is characterized by cooperation among national and regional network operators who insist on maintaining their autonomy and control within their domestic sphere but who wish to contribute to the reliable management of international links and services – because doing so is in the interests of their service constituency. This model suggests agreement on certain operational standards and tools, the very things that are provided by a distributed virtual NOC.

The Future of Global Networking

Through its existing program, GLORIAD has already laid down a foundation toward establishing a distributed managed operating system for a reasonably large subset of the global community: We have cooperatively negotiated contracts for circuits and services and we have agreed with a set of trusted international partners to cooperatively share and manage the services for the benefit of our research communities. The next step is now evident – both for our GLORIAD program, and more importantly, the broader R&E networking community.

“What we point to with the dvNOC is something even larger – and that is the model of international networking dominated by no one, contributed to by everyone.”

GLORIAD already has a large set of trusted partners working toward this same end. The hope is that we can begin to further refine and develop this cooperative, shared model within the GLORIAD framework and develop a set of tools, technologies, frameworks, standards, and approaches that work for us, while simultaneously building a system that is extensible to a global set of contributors. By working initially and directly with the GLIF community we can expand the effort more broadly. As we make progress and as we further open the effort to others, we can shift the direction of global networking toward a global network infrastructure that exists for and is managed by the global R&E community rather than a model dominated by the interests of a small number of large global players (GLORIAD among them). In a very real sense, GLORIAD was created to promote this model of collaborative international networking in which international partners allow certain visibility into each other’s networks, share a certain amount of control, and cooperate for the good of their service constituency (research and education communities). Even for such a project with limited scope as GLORIAD (eleven national partners), shared management of networking is not an easy problem. What we point to with the dvNOC, however, is something even larger – and that is the model of international networking dominated by no one, contributed to by everyone. Such a model of collaborative, reliable operation of network services depends upon a base set of common agreements, adoption of certain standards, tools and technologies – but in no way restricts any national or regional contributors in the use of their own technologies or in the pursuit of their own unique technical agendas.

Our thanks to Dr. Dongkyun Kim of Korea/KISTI for his hard work in helping define first steps for implementing the dvNOC during his stay with us in Tennessee in 2006-2007.

[Image taken from Paul Baran’s RAND Memorandum, "On Distributed Communications: 1. Introduction to Distributed Communications Network" (August 1964)

월요일, 10월 01, 2007

Marquis Who's Who in the World 2008 등재

미국의 인명 사전에 등재된다는 연락을 받았다. 대단한 건 아니지만 그동안 해왔던 여러 일들을 객관적으로 인정받았다는 것이 생각보다 큰 기쁨이었다. 인명 사전 하나에 이름이 실린 것도 이렇게 좋으니.. 자기 이름이 실린 책이나 영화를 만든 사람들이 얼마나 대단한지 새삼 느껴진다. (갑작스레 심형래가 생각나는 것은 왜일까? ^^)

금요일, 8월 24, 2007

과학용 YouTube?

Bill St. Arnaud의 블로그를 보니 재미있는 내용이 있어 소개한다. 이른바 과학자를 위한 YouTube가 있는데, 미국의 NSF (과학재단)와 Public Library of Science (과학대중도서관), SDSC (샌디에고 슈퍼컴퓨팅 센터)가 공동으로 무엇이 "과학자를 위한 유튜브"인지를 고민하여 구축했다고 한다. "SciVee"가 바로 그것인데, 이 싸이트를 통해서 과학자들은 자신의 연구 논문을 짧은 강의 형식의 동영상 및 발표자료와 함께 올릴 수 있다. 그동안 여러 연구자들이 어려운 과학 논문을 이해하기 위하여 많은 (힘든) 수고와 노력을 겪었는데, SciVee를 구축한 사람들은 비디오와 오디오를 곁들인 연구논문이 주제를 쉽게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고, 관련 연구자 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들에게도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한다.

들어가서 잠시 들여다 보니, 현재 alpha 버젼이라서 자료가 많지 않지만, computational biology, Genetics, Medicine 등 주제별로 나누어져 있고, 비디오/오디오와 함께 프리젠테이션까지 함께 볼 수 있었다. 아직 computer science나 network 관련 분야가 없는 것은 아쉽지만 멀지 않은 미래에 볼 수 있기를 바란다.

SciVee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여기를 누르시길..

목요일, 8월 09, 2007

SOA

서비스 중심 아키텍처, 즉 SOA는 서비스 공급을 위해 업무용 애플리케이션을 연결한다. 확장성 생성 언어(XML)를 비롯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이 서로 통신하는 아키텍처를 조성하여 업무 프로세스를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SOA는 애플리케이션 링크를 위해 개방형 표준이 필요하다. 이는 써드파티 벤더나 사내에서 제작할 수 있다. -Tom Krazit (CNET News.com)

목요일, 7월 26, 2007

Web 2.0의 세 가지 특징

Web 2.0..

Zend의 Andi Gutmans이 정리한 내용에 약간의 살을 붙였다.

1. RIA (Rich Internet Applications) : Move desktop applications to browsers. Ajax로 개발된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이미 워드 프로세서는 넘어 갔고, 액셀같은 스프레트시트도 넘어 가고 있는 중이다. 돈주고 살 필요 없는 다양한 응용들.. 물론 아직 대부분이 베타이지만 이는 앞으로 더 많은 기능들이 올라갈 거라는 반증도 될 것이다.

2. Much Richer Applications w/ SOA : RIA와 RIA가 서로 데이터/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 따라서 보다 더 기능이 강화된 (richer) 응용이 탄생. Feed, RSS, Meshup 같은 개념들이 나타나고 이를 통해서 플랫폼으로서의 웹이 점차 힘을 얻고 있다.

3. Social Networking : WIKI 등 사용자의 참여로 콘텐츠가 만들어지고, Blog등을 통해서 자유롭게 지식 공유가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가 중심이 되어 정보를 만들고 공유하는 장이 Web 2.0의 또다른 특징이다.

위의 세 가지 특징을 지원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기반 기술은 ? 현재까지 볼 때 뭐니 뭐니해도 Ajax 이겠고.. SOA의 근간을 이루는 Web Service를 빼 놓을 수 없겠다. 이외에도 다양한 language tool이 필요하겠다.

아래 링크는 Tim O'Reilly가 정리한 Web 2.0에 대한 내용이다.

http://www.zdnet.co.kr/builder/dev/web/0,39031700,39143347,00.htm

화요일, 7월 03, 2007

전체적인 그림을 보고 멀리 내다보는 능력

(예병일의 경제노트, 2007.7.3)

펠레, 그레츠키와 같은 슈퍼스타들은 앞으로 펼쳐질 일을 예상하고 그에 따라
행동했다. 예견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며 그레츠키는 이렇게 말했다.
"나는 퍽이 있는 곳으로 가지 않습니다.나는 퍽이 튈 곳으로 갑니다."

이러한 선수들은 움직임을 형태주의적으로 본다. 경기를 중계하는 아나운서
처럼 경기에서 분리되어 전체적인 시각으로 살피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한니발이나 나폴레옹이 전쟁터를 멀리서 바라봤던 이유이다.

목요일, 6월 21, 2007

SCI, SCIE, JCR, Impact Factor - 학술지는 어떻게 평가되는가 [펌]

출처 : http://blog.naver.com/edmoon00/70016164305


계량화된 수치가 주는 단순함이 있다. 이를테면 수능 점수나 토익 점수처럼 말이다. 점수는 쉽게 비교할 수 있고 순위를 매길 수 있다. 한 줄로 세울 수 있다면 비교 대상들은 단순히 1차원 공간에 찍힌 점이 된다. 복잡한 세상의 난해한 것들은 한 라인 속에 배치할 수 있다면 꽤 매력적일 것이다.

그 래서 한국 사람들은 수치화된 점수를 좋아한다. 그래서 학술적 연구성과도 점수화하고 싶어할 것이다. 그래서 SCI가 기준이 되고 Impact Factor (IF)가 성적이 된다. 별로 놀랍지 않게도 미국인도 그러하다. 그래서 실용적 이유로 미국인이 그것들을 만들었고 우리는 그것을 가져다 쓴다.

이 글은 SCI와 IF 등의 문제 즉, 학술지에 대한 소위 객관적 평가에 대해 알기 쉽게 설명해보았다.


0. 학술지란 무엇인가.


학 술지는 연구자들끼리 학술적 연구성과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용도로 만든 정기 간행물을 말한다. 논문을 묶어 놓은 것이니까 논문지라고 할 수도 있지만, 비정기적으로 가끔 만드는 논문집은 학술지에 포함되지 않는다. 본질적으로 학술지는 정기 간행물이고 잡지나 신문과 같은 카타고리를 형성한다. 사실, 이건 잡지나 어떤 모임의 의사소통 수단인 협회지와 비슷한 형식을 지니고 있다. 확실히 'Science'나 'Nature'는 잡지이다. 그리고 학술지의 주류를 형성하는 학술 단체 산하의 학술지는 협회지 성격을 지니고 있다.

학 술지는 이런 식으로 운영된다. 실제 학술지라는 출판물을 찍어내고 보급하는 출판사가 이 학술지의 소유자이다. 신문사로 말하면 사주가 되겠다. 그리고 이 소유자와는 별도로 이 학술지를 운영하는 사람은 에디터이다. 뭐 편집장 정도 되겠다. 편집장이 그러하듯 에디터는 사설이나 칼럼류의 글도 쓴다. 그러나 학술지의 본문은 개별 연구자들이 작성한 논문으로 구성되게 된다. 논문도 글이고, 이 글들은 기고(contribute)된 글이다. (Ohmynews같은 매체의 운영 방식과 같다.) 학술지는 독자들의 투고를 기다리고 있다가 기고가 들어오면 나름의 방식으로 기고된 논문을 심사해서 출판하면 된다. 기고되는 것을 기다리는 것 이외에 특정인에게 글을 청탁(invite)할 수도 있을 것이다.

위 얘기는 오직 연구 논문(research article)에 대해서 그러하다는 것이다. 만약 학술지가 잡지의 성격을 지녔다면 그 잡지는 연구 논문 이외에 다른 '기사'류의 글들도 포함하게 된다. 이를테면 뉴스나 동향, 비평, 신변잡기성 글도 들어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일반 기사와 연구 논문은 명확히 구분지어진다. 그리고 그 잡지가 학술지라고 불린다면 오직 이 연구 논문 수록 부분에 대해서만 그러하다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에 디터는 대부분 영향력 있고 경험많은 학술지의 커버 분야의 권위자들이다. 그들은 연구자인 동시에 학술지의 핵심 운영자인 것이다. 많은 학술지는 최고 에디터부터 각 분야별 에디터까지 다수의 에디터를 고용하고 있다. 얼마나 월급을 받는지는 모르겠지만 대부분 돈 때문에 에디터를 하지는 않을 것이다. 에디터의 직위는 그 영향력과 권위 때문에 매력적인 것이다.

에 디터는 투고된 논문을 심사하는 철차를 관리하고 심사에 참여한다. 에디터는 관례상 독단적으로 심사를 할 수 없다. 에디터는 투고된 논문의 주제를 잘 안다고 생각되는 peer-reviewer를 선정해서 그에게 메일을 보낸다. "이러이러한 논문이 접수되었는데 이 논문 한번 리뷰해주실래요?" 최소 두, 세명 정도로부터 리뷰를 받아야 될 것이다.

리 뷰어는 투고된 논문을 읽고 자신의 의견(comment)이나 질문을 할 수 있다. 논문의 저자들은 리뷰어의 의견을 전달받고 (이들은 누가 리뷰를 하는지 모른다.) 이에 대해 적절한 답변을 주거나 논문을 수정(revision)한다. 그리고 에디터는 그 과정을 지켜보고 마지막 순간에 판단을 내린다. Accept or Reject로.

리뷰는 무보수다.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리뷰를 번거로운 일로 취급한다. 성실하고 완벽한 리뷰를 항상 기대하기는 힘들다. 좋은 리뷰어를 만나는 것은 논문의 저자에게나 에디터에게나 복이 될 것이다. 권위있는 학술지가 지니는 강점중 하나는 리뷰어들이 진지하게 리뷰에 응할 확률이 높다는 것이기도 하다.

그 리고 이 글의 주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인용'(citation)의 문제가 등장한다. 논문의 저자들은 그 논문을 작성하면서 성실하게 참고문헌 리스트를 작성해야 한다. 즉, 그가 그 연구를 수행하면서 참고하고 읽은 다른 사람 (자기 자신 것도 포함)의 논문이나 책을 소상히 밝혀야 한다. 세상에는 완전히 새로운 것은 없기 때문이다. 인용의 문제는 또한 논문의 중요한 평가 지표인 신규성에 대한 판단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모든 학술 논문은 새로운 내용 즉, 전에는 사람들이 몰랐다고 판단되는 뭔가가 설령 아주 사소한 것이라 할지라도 있어야만 하고 그것을 독자들에게 발표한다는 것이 글의 주제여야만 한다. (자기 자랑이 주제가 아니다.)

그 런데 세상에 너무 많은 논문들이 있다보니 에디터나 리뷰어들도 특정 분야 내에서조차 모든 논문들을 다 읽어본건 아니다. 그러니 저자들이 이전까지의 연구 결과(다른 사람이나 자기 자신이나)를 정리하고 도대체 자기들 연구 결과가 어떤 점에서 새로운 것인지를 자세히 설명해 줘야만 한다. 그리고 자기 연구에서 다른 사람의 연구 결과를 직접적으로 사용했다면 (실험이나 분석에서) 그 기존 연구에 대해 적절한 평가를 해줘야만 하고 그것이 바로 인용이다. 그러므로 인용 행위는 각 논문들간의 연관관계를 판단하는 좋은 기회를 제공한다.


1. SCI란 무엇인가.


서설이 무지 길었다. 본론으로 들어가자.

Science Citation Index (SCI)는 ISI (Institute of Science Information, 현재 Thomson Scientific 소유)가 1960년부터 내놓은 '상품'이다. 단순 목록은 공짜로 검색되고 상세한 정보는 라이센스를 구입해서 인터넷을 통해 검색하거나 CD나 종이로 인쇄된 것을 살 수도 있다. 도서관을 운영하는 목적 등이 아니라면 굳이 개인이 이걸 살 필요는 없을 것이다. SCI는 사람들이 많이 읽고 연구에 참고하는 과학 학술지들의 리스트라고 보면 된다. 그리고 이 리스트에 JCR (Journal Citation Report, 저널 인용실태 보고서?)이 있고 각 저널별로 IF (Impact Factor)가 매겨져 있다. 사람들은 이것들을 크게 분리해서 부르지는 않는다.

놀 랍게도 SCI는 상품이다. 이것은 한 출판 그룹이 내놓는 또하나의 '출판물'에 불과하다. 다만, 이 출판물은 다른 출판물에 대한 평가와 분석이 들어있다. 이 상품의 기본 철학은 이런 것이다. 세계에는 무지 많은 학술지들이 존재한다. 그리고 그 학술지들이 매년 각각 수십편에서 수백편, 종종 수천편의 논문을 출판해낸다. 그러니 뭔가 정리도 하고 분석도 하고 해야 될 것이다. 그들은 그것을 분석해서 제품으로 내놓았다. 그리고 그것을 구입해서 연구나 도서관 관리 등에 참고하면 된다.

SCIE 는 SCI Expanded 즉, SCI의 확장판이다. 통상 논문지가 SCI라고 할때 굳이 SCI와 SCIE를 구분하지는 않는다. 2005년판을 기준으로 SCI는 3,734 종의 저널이 그리고 SCIE는 6,623 종의 저널이 등재되어 있다. (그리고 아마도 세상에는 그보다 더 많은 수의 저널이 있을 것이다.) SCIE에는 등재되어 있는데 SCI에는 등재되지 않은 논문을 편의상 Non-SCI SCIE 학술지라고 하면, 이들이 SCI가 안되는 이유는 Impact Factor 때문만은 아니다. ISI(Thomson Scientific 사)는 어떤 저널이 SCI에 등재할 것인가에 대한 나름의 룰이 있다. 그래서 그 기준에 부합하지 않지만 중요한 학술지라면 SCIE에만 포함되는 것이다. 중요한 이유중 하나는 학술지가 창간된지 얼마 안된 경우일 것이다. 수년정도의 단기간 내에 높은 Impact Factor를 얻을 수도 있기 때문에 높은 Impact Factor를 가지고 있지만 SCI에 등재할 중요성은 아직 지니고 있지 못하다고 ISI는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장 사가 꽤 잘되었던지 Thomson은 SCI 말고도 다른 '상품'도 가지고 있다. Social Science Citation Index (SSCI)나 Arts & Hamanities Citation Index 도 있다. 뭐 기본적인 성향은 비슷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SCIE와 위 두개를 합해서 Web of Science라는 패키지 상품을 판매하는데 기관 라이센스로 인터넷을 통해 위 제품이 제공하는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내가 있는 기관이 Web of Science를 구매해서 나는 인터넷을 통해 위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것이다.

Thomson이 홈페이지에 적은 자기 '상품'의 잠재적 사용자는 다음과 같다고 한다. (http://scientific.thomson.com/products/jcr/)

1. 도서관 사서: "자기들은 논문을 읽지도 않는데도 이 많은 정기 간행물을 관리해야 한다. 그러니 JCR을 사서 참조하시라."

2. 출판업자, 저널 에디터: "자기 저널지의 성과도 참고하고, 경쟁자들의 동향도 파악하고, 최근 어느 분야가 뜨는지 같은 것도 확인할 수 있을테고."

3. 논문 저자들: "과연 이번 연구 결과를 어디에다가 보낼 것인가. 이번 연구결과를 받아줄 적당한 저널은 무엇인가. 내가 쓴 논문이 얼마나 인용되었는가."

4. 정보 분석가들: "..."

주지하다시피 이 상품의 원래 목적과는 달리 SCI와 IF가 연구자의 평가 지표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ISI의 공식적 입장은 이러한 활용에 대해 부정적이다. (속으로는 좋아할 듯 싶다.)


2. Impact Factor (IF) 란 무엇인가.


언 제나 IF와 관련된 논란이 있었다. 왜냐면 이건 구체적 수치이고 점수이기 때문이다. 더구나 편차도 무지 심하다. 가장 높은건 50이 넘을 수 있고 낮은 저널은 1.0도 안된다. 대부분의 저널이 2.0이나 3.0 이하라고 보면 된다. IF라는 용어를 번역하면 파급효과지수 정도인데 그러니까 그 논문지에 실린 각 논문의 파급효과가 그 정도라는 얘기가 된다. 낮은 IF의 논문을 쓰는 사람은 불평을 할 소지가 다분히 있다.

IF는 순전히 각 논문지에 실린 논문이 평균적으로 몇번이나 다른 논문에 의해 참고문헌으로 피인용되었는지를 따지는 수치이다. IF를 매기는 방식은 기본적으로 이렇다. 예를들어 한 논문지에 대한 2006년도의 IF는

IF=(2004, 2005년에 해당 논문지에 출판된 논문이 2006년에 피인용된 회수)/(2006년에 해당 논문지에 실린 논문의 수)

가 된다. 단, 여기서 인용은 SCI 논문지의 논문간에 인용이다. 즉, 쉽게 생각하면 그 논문지에 실리는 논문은 대충 몇번이나 단기간 내에 다른 SCI 논문에 의해 피인용되는가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지수의 단순성과 객관성은 큰 매력이다. 피인용 회수는 확실히 좋은 논문과 나쁜 논문을 가르는 하나의 기준이 될 법도 하다. 즉, 많이 인용되고 참고된 논문은 뭔가 가치를 더 지니고 있을 법 하다. 최소한 많은 사람이 세세히 읽어줬다는 의미는 되니까.

최 소한 통계적으로는 그러할 것이다. 개별 논문에 대해서 피인용회수를 가지고 평가하는건 부당할 수 있지만 학술지에 대해서는 대체로 학술지가 연간 수백편 이상의 논문을 출판한다는 점에서 통계화된다. 그래서 IF는 논문에 대해서 매겨지는게 아니라 학술지에 대해서 매겨지는 것이다. 그리고 그 학술지가 그 정도 독자층과 평판, 파급효과를 지녔다면 아마도 그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도 평균적으로 그럴 수 있다고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3. Impact Factor, 무엇이 문제인가.


이 지수의 명백한 오류는 분야별로 인용 패턴이 다르다는 점이다. 예를들어, 어떤 분야는 연구 주기가 더 길 수도 있고, 단순히 SCI에 등재된 논문지의 수가 적어서 피인용될 확률이 적을 수도 있다. 또한 어떤 논문지는 최종 출판되기까지 너무 긴 시간이 걸려서 피인용될 확률이 줄 수도 있다. 그리고 근본적으로는 피인용 회수는 논문의 질과 직접적인 연관 관계가 있는건 아니다. 피인용 회수가 높다는 것은 단순히 그 분야가 최근 각광받는 분야라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학술지의 출판업자, 에디터들은 자기 학술지의 IF를 높이고 싶을 것이다. IF가 높아야 독자가 몰리고, 논문 기고가 몰리게 된다. 가장 쉬운 방법은 '리뷰 논문' 을 많이 쓰게 하는 것이다. 새로 발견한 학술적 연구 결과를 발표하는 일반 논문과 달리 리뷰 논문은 그동안의 성과를 복습하는 논문을 말한다. 리뷰 논문에는 새로운 내용은 안 들어가 있다. 그리고 리뷰 논문에는 저자 본인이 한 성과 이외에 남들이 한 성과가 (정직하게 인용만 된다면) 함께 정리되어져 있다. 리뷰 논문이 종합 선물 세트인 만큼 일반 논문 보다 피인용률이 높다. 그래서 ISI는 리뷰 논문을 구분해내는 나름의 방법을 사용한다. 이를테면 제목에 review, overview가 들어있거나 참고문헌의 개수가 100개가 넘거나 하면 리뷰 논문으로 간주해서 IF 계산에 넣지 않는다. 그러나 편법은 당연히 가능하다. IF 계산시에 리뷰 논문으로 분류 안되지만 속성은 리뷰 논문인 형태의 논문은 꽤나 흔하게 존재한다.

또다른 방법은 논문 기고를 받을때 자기 학술지 혹은 같은 단체에서 발행하는 형제 학술지를 되도록 더 많이 인용하도록 권하는 것이다. 물론 명시적으로 이런 요구를 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자기 인용률이 더 높은 논문에 가산점을 부여해서 심하할 수 있을 것이고, 이것을 저자들이 암묵적으로 인지한다면 되도록 더 많은 자기 인용을 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해당 학술지 내에서 이뤄지는 내부 인용은 상호 인용과 구분되어 통계가 만들어 진다. 그러나 저명 학술지 사이의 모종의 담합이 있을 수는 있다. 그 렇기 때문에 어떤 분야는 다수 학술지를 발행하는 어떤 특정 학술 단체에 의해 IF가 독점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영어권 국가의 SCI와 IF 독점은 부분적으로 독점의 문제로 설명될 수 있다. 만약 영어 학술지에 투고하는 영어로된 학술지에 학국어 논문이나 비SCI 등재 학술지 논문을 참고문헌을 단다면 에디터가 좋아할까. 사람들은 논문을 기고할때, 참고문헌을 정리할때 이 문제를 실제로 고민한다.

피 인용을 기준으로 논문 질을 평가하는 것이 지닌 또다른 함정은 인용자들이 대부분 그들이 인용한 참고문헌을 읽지도 않는다는데 있다! 그건 말도 안되는 일이라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실제로 자주 벌어진다. 인용을 한다는 것이 꼭 그 연구결과를 참조했다는 의미는 아니다. 이를테면 단순히 그 분야에서 최근 진행되고 있는 주제들을 환기시키는 목적이라거나 단순히 다른 논문에서 이미 언급된 단편적 사항을 지적하기 위해 그 논문이 인용한 논문을 다시 인용하는 일이 벌어진다.

예 를들어, 실제로 저자들이 참고문헌을 다 읽지 않는다는 위에서 언급한 사실을 나는 경험을 통해서 이미 알고 있다. 그리고 그 사실이 공공연히 얘기되고 있다는 사실을 wikipedia의 글에서 읽었다. 그리고 그 wikipedia의 글은 다시 아래 글을 참고문헌으로 달았다. 나는 그 논문의 제목이 "Read before you cite" 임에도 읽지도 않고 아래에 참고문헌으로 단다.

참고문헌: http://xxx.lanl.gov/ftp/cond-mat/papers/0212/0212043.pdf

이런 식으로 일이 벌어진다. 인용되기 좋은 성격의 논문이 있고 이 논문들은 자주 읽히지도 않으면서 인용되는 것이다.

SCI 와 IF가 도서관 사서가 아닌 과학 기술자 집단 내에서 이슈가 되는 이유는 이것을 기준으로 성과를 평가하는 정책 때문이다. 오직 SCI (SCIE 포함) 등재 학술지에 발표한 논문만을 주요 논문 성과로 인정하고 거기에 IF 합산 점수를 가지고 발표된 논문의 질을 평가한다.

많 은 대학이나 학과에서 SCI 논문 몇편 이상을 졸업 요건으로 걸기도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IF 몇점 이상을 요구하기도 한다. 이것이 오남용인지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음에도 당분간 이런 정책에 변화가 있을것 같지는 않다. 이것은 특히 몇몇 분야의 공학도에게는 큰 압박인 경우가 많다. 그런 분야에서는 졸업때까지 단 한편의 SCI 논문도 쓰기 힘들다. 걔네가 머리가 나빠서가 꼭 아니다. 산업적 연관관계가 큰 분야에서는 논문보다 학회나 특허가 더 중요할 수도 있다.


4. 학술지들: from the top to the bottom.


이 글의 주제가 SCI나 IF에 크게 매달리지 말자는 류임에도 불구하고 몇가지 학술지와 그 IF를 간단히 소개해 본다. 이 글의 독자들이 궁금해할것이 분명하니까. 말초적인 것은 확실히 흥미롭다.

톱이라고 불리는 것부터 나의 분야를 기준으로 낮은 것까지 (너무 낮은건 언급 안 했음.) 차례대로 소개해 본다. 얼마나 다양하고 많은 학술지가 세상에 있는지를 볼 수 있을 것이다.

2005년도 JCR에서 뽑아본다. 아래와 같은 순서로 표기되어져 있다.

학술지명, IF, 연간 논문수


(1) 메디컬은 강하다.


CA-A CANCER JOURNAL FOR CLINICIANS 49.794 20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44.016 308

LANCET 23.878 360

2005 년도 영광스런(?) IF 1등은 CA-A Cancer Journal for Clinicians란 이름부터가 무지 '전문적인' 메디컬 학술지가 차지했다. 1등은 매번 바뀐다. 그러나 대부분 메디컬쪽 학술지가 차지한다고 보면 된다. 의학 분야와 생물 분야는 분명히 다르다. 어쨌든 의학 분야가 1등을 차지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의학 관련 SCI 학술지가 많고, 논문도 많다. 의사들은 전세계에 널려있으니 잠재적 저자도 독자도 많다.

1등이야 고작 논문 20편 밖에 안된다. 주요 학술지라고 말하긴 힘들겠다. 3등을 한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정도는 되야 될 것이다. 이 논문은 항상 상위에 랭크되는 IF 면에서 최고급 학술지다.

Lancet 은 17위 밖에 안되지만 언급할 필요가 있는 의학분야 학술지다. 이 학술지는 역사가 200년 가까이 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정기간행 학술지다. 학술지는 IF만으로 평가되지 않는다. 역사와 권위 절대 무시 못한다. 여하튼 상위권의 대부분은 의학쪽이라고 보면 된다.


(2) Nature-Science-Cell


Nature 29.273 1065

Science 30.927 827

Cell 29.431 319

대 한민국 과학기술부가 목말라하는 이 3대 학술지는 IF 면에서 최상위는 아니다. 의학분야에 눌려서. 그러나 의학 분야는 엄밀히 말하면 순수 과학과는 거리가 멀다. 그러니 의학 분야를 제외하고나면 위 삼인방이 꽤나 상위권이 된다. (실제로 상위는 아니다.) 그래도 Science 는 6위에 불과하다. 그러나 IF는 IF일뿐. 종합적 권위와 영향력, 커버하는 범위 면에서 Nature와 Science를 넘볼 자는 없는게 현실이다. IF가 어쨌든 그건 중요한게 아니다. 즉, Nature가 IF가 높아서 좋은게 아니라 Nature의 IF가 높아야만 IF가 의미를 지니는 것이라고 말할 수도 있다.

Cell은 생물학에 국한되지만 그래도 많이들 거론하는 저명 학술지다. (순위로는 10위)

네 이쳐는 네이쳐 자체 말고도 많은 자매지가 있다. 그리고 자매지들도 대부분 무지 IF가 높다. 예를들어 NATURE REVIEWS CANCER 는 어머니격인 Nature 자체보다 IF가 높다. 대부분 Nature 자매지라면 매우 좋은 학술지로 간주한다. (Nature 자매지 중에는 생각보다 낮은 것도 있고 아직(?) SCI에 등재되지 않은 것조차 있다.)

IF 가 높은 낮든, 사람들의 평가가 높든 말든. Nature, Science를 바라보는 한국 일반 국민의 마음 속에는 분명 거품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잡지는 그저 잡지일 뿐이다. 그리고 이 잡지들은 모든 분야를 골고루 다루는 것도 아니다. 대부분의 분야에서 Nature나 Science는 읽히지도 않는다. 노벨상이든 네이쳐 싸이언스든 한국인은 소위 1등이라는 것에 무지 약한 듯 싶다.


(3) 물리-화학의 톱


" 의학이나 생물학도 과학이냐?" 라고 트집을 잡는 물리학자가 실제로 꽤나 있다. 비하까지는 아니고 전통적인 중요성에 비해 조금 저평가되어져 있다는 비통함과 자존심 때문일 수 있다. 전통적인 과학의 왕자들인 물리와 화학의 IF는 상대적으로 초라하다. 그나마 리뷰 성격이 강한 아래 두 학술지들이 체면 치레를 했다. 8위씩이나 랭크되었지만 논문 양으로 봤을때 Review of Modern Physics는 사실 주요 학술지는 아니다. 이 학술지는 거의 책을 써도 될만큼 긴 분량의 논문으로 유명하다. 사실 제목부터 그렇듯이 리뷰 성격이 강한 논문들이다. 그러니 인용률이 높은게 당연할 것이다. 어쨌든 이런 류의 학술지는 아무나 못 쓴다고 보면 된다. 노친네들을 위한 학술지라고 볼 수도 있다.

REVIEWS OF MODERN PHYSICS 30.254 30

CHEMICAL REVIEWS 20.869 132


(4) 덜 알려진 세미-톱 학술지들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PNAS) 10.231 3200

Nano Letters 9.847 490

각 분야별로 혹은 전반적인 분야를 다루는 꽤나 괜찮다고 평가받는 학술지들이 있다. PNAS는 미국의 한림원 격인 NAS가 발간한다. 자세히는 모르겠지만 폐쇄적인 성격의 학술지로 사람들에게 알려져 있다. 뭐 공식적인 제한이 있는건 아니다. 읽기도 좋고 권위도 있고. 아무나 쓸 수 있는 학술지와는 약간의 거리가 있어 보인다.

Nano Letters는 뭐 권위가 있다고는 할 건 없는데 이를테면 NT 흐름에 의해 어떤 식으로 새로운 신성들이 뜰 수 있는지를 보여주기 위해 언급해 봤다. 2005년 기준으로 고작 12년의 역사를 가진 "이마에 피도 안 마른" 학술지인데 NT 흐름 속에서 급격히 성장했다. 이름에다가 우린 Nano 아님 안 받아요...라고 써놔서 분야가 어찌보면 굉장히 협소한데도 말이다.


(5) 진짜 중요한 학술지들 - 물리학 관련 기준.


Physical Review Letters (PRL) 7.489 3694

Physical Review D (PR-D) 4.852 2247

Applied Physics Letters (APL) 4.127 4414

학 술지에 논문 쓰는건 상 받는게 아니다. 자기 연구 성과를 누구보다도 자기 분야의 동료들에게 전달하고 평가받는게 핵심이다. 물리학자를 기준으로 하더라도 우선적인 자기 소속분야가 있게 마련이다. 만약 자신의 연구결과가 물리학 전반에 의미를 지닌다고 생각된다면 PRL을 쓸 수 있을 것이다. PRL 정도만 되도 아주 훌륭한 학술지이다. 1년에 4000편 가까이나 논문을 통해내고 IF는 8도 안됨에도 불구하고. 비록 물리학에 국한된 것이지만 그 권위와 의미는 독특한 것이다. APS (미국 물리학회)는 PRL 말고도 다수의 PR 시리즈(PR-A, PR-B, PR-C,...)를 분야별로 내고 있다. 가장 높은게 PR-D였는데 IF 5가 조금 안된다. 실제 물리학자들이 주로 읽고 교류하는 종류의 학술지라고 보면 된다.

APL은 응용 물리학 특히, 물성과 관련된 응용 물리학 분야에서 중요한 학술지이다. 응용 물리학자가 APL을 몇편 썼다면 그는 천재까지는 아니어도 무척 성실한 연구자임에 분명할 것이다.


(6) 한 분야 내에서 주요한 학술지들 - 광학 기준.


Optics Express 3.764 1231

Optics Letters 3.599 985

Journal of Optical Society of America B (JOSA-B) 2.119 319

그 러나 불행히도 내 전공 분야는 광학이다. 광학은 다시 물리학에서도 좀 특이한 하위 분야이고 응용 물리학의 한 부류에 가깝다. 독특한 주제이기 때문에 실제로 대부분의 광학 연구자들은 PRL이나 APL을 쓸 가능성이 낮다. OSA(미국 광학회)와 관련된 몇 종류의 학술지들이 광학 분야의 주요 학술지로 간주된다. Optics Letters는 전통적인 광학 분야 내의 권위지이다. 역사가 10년도 안된 Optics Express라는 특이한 학술지 때문에 광학 분야내의 1등을 내줘야 했지만 Letter의 권위는 더 높다고 봐야 될 것이다. JOSA-A,B는 IF가 높은 것들은 아니지만 역사나 권위 면에서 뒤지지 않는다.


(7) 그 이하의 IF를 가진 학술지들.


광 학분야 내에서도 IF 1.0이나 그 이하의 학술지들이 더 많은건 당연할 것이다. 이런 학술지들은 구독자의 층이나 인용률 등에서 한계를 가진다. 그게 바로 IF가 낮은 이유이기도 할 것이다. 광학 분야에서 가장 낮은 IF를 가진 학술지는 0.252를 가지고 있다.


이 글의 참고문헌


http://scientific.thomson.com/free/essays/journalcitationreports/impactfactor/

IF의 정의와 논란점들에 대한 ISI의 반응이 실린 글이다. ISI의 공식 홈페이지이다.

http://en.wikipedia.org/wiki/Impact_factor

http://en.wikipedia.org/wiki/Journal_Citation_Reports

http://en.wikipedia.org/wiki/Science_Citation_Index

위키피디아 오픈 백과사전에서 관련 항목에 대한 소개가 있다. 이 글에서 언급하지 않은 몇가지 주제들이 IF 관련 항목에서 언급되어져 있다.


기타 링크


http://www.thomsonscientific.com/cgi-bin/jrnlst/jloptions.cgi?PC=K

SCI 학술지의 리스트 및 검색을 해주는 ISI 웹사이트이다. JCR이나 IF 정보는 제공되지 않는다.

http://www.thomsonscientific.com/cgi-bin/jrnlst/jloptions.cgi?PC=D

SCIE 학술지 리스트 및 검색 사이트이다. JCR이나 IF 정보는 제공되지 않는다.

월요일, 6월 18, 2007

The Phantom of the Opera

딸아이가 미국에서 귀국하자마자, 원래 다니던 느리울 초등학교에 3학년으로 복학했다. 학교에 다닌지 3-4일 정도 되었나.. 어느날 갑자기 쪽지를 하나 들고 왔는데, 영어 말하기 대회에 참여하라는 내용이란다. 미국에 다녀왔다고 하니 간택(?) 된 것 같은데.. 아무튼 부모의 일이 갑자기 많아졌다. 부랴부랴 원고 쓰랴 연습시키랴.. 그렇지 않아도 갓 귀국해서 할 일이 태산인데 더 분주해졌다.

어쨋든 태은이로서는 많은 사람 앞에서 (영어로) 말 해볼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졌다. 원고 외우고 연습하느라 무척 힘들었지만 시 대회 서부 지구 결선에서 동메달을 받았으니 나름대로 보람이 있었다. 아래는 영어 말하기 대회 원고인 "오페라의 유령"이다. 나름대로 열심히 쓴 원고라서 보관 차원에서 올려 놓지만, 평소 이 뮤지컬에 관심있는 분들은 한번 보시면 줄거리를 요약 (?) 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다. (음표가 있는 부분은 태은이가 직접 노래했다~^^)


Title : The Phantom of the Opera

Speaker : Taeeun Kim

Hello, everyone!

This is Taeeun Kim. I am 10 years old and in the third grade at Neuriul Elementary School. First, I am very glad to stand here as a representative of my school.

I went to Tennessee, USA, last year with my family. I lived in Knoxville, and I was a second grader at West Hills Elementary. It was very fun staying there. Today, I am very happy to talk to you about one of my best memories in the US.

When I lived in the States, my dad took my family to New York City. I saw many interesting things in New York. The Empire State Building, the Statue of Liberty, Central Park, and The Phantom of the Opera, on Broadway.

I’d like to tell you about the Phantom of the Opera, because it was very fun and it was my favorite experience. The Phantom of the Opera was the name of the longest running musical in New York’s history. This musical had three main characters; Erik, Christine, and Raul. Erik was a scary phantom of the opera. He was very ugly, so he always wore a mask to cover his face. Christine was a beautiful opera singer. Raul was her friend. Both Erik and Raul loved Christine, because she was talented and beautiful. But Christine loved Raul much more than Erik. Erik was very angry. He took Christine into a secret hiding place and watched her. Erik even tried to kill Raul. But Christine and Raul were keeping their true love. Finally, Erik accepted their true love, and let them be together. So Christine and Raul lived happy ever after.

That is just a small part of the Phantom of the Opera story. After I saw this musical, I felt music was a good way to tell a story. When Raul said he loved Christine, he sang a sweet song, All I Ask of You. (♬ Love me, that's all I ask of you ♬). When Erik took Christine to his secret hiding place, he sang a fantastic song called, The Phantom of the Opera. (♬ The phantom of the opera is here, inside your mind ♬). All the music was so nice and wonderful. The music showed their feelings and emotion very well, and it moved everyone in attendance.

When I think about his character, I believe Erik was a good man. To many, Erik was a scary ghost, but he loved Christine so much. Despite his desires, he freed her to Raul. When Erik let Christine go, I was so impressed I couldn't hold back my tears. Because of this musical, I wish to be a good soul like Erik. I wish to have a kind heart to help other people. If everyone has a love as Erik did, I believe our world will be more peaceful.

I hope you enjoyed my story. Thank you so much.

목요일, 6월 07, 2007

고객 존중 마인드와 한 식당 종업원의 모습


(예병일의 경제노트, 2007.6.7)

그녀는 내 스타벅스 컵을 보더니 무뚝뚝하게 "저희 식당에서는
외부 음식과 음료는 반입 금지입니다. 버리시거나 카운터에 맡겼
다가 나가실 때 찾아가시죠"라고 말하는 게 아닌가!
나는 3달러짜리 카푸치노를 버릴 생각이 없었다. 그래서 커피를
들고 그 식당을 나와 다른 식당으로 갔다...

"그 종업원은 '저희는 외부 음식이나 음료의 반입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제가 자리를 안내해 드린 후, 손님의 음료를 저희 식당
컵으로 옮겨 드리겠습니다.'라고 말했어야 했어. 이렇게 하면
경쟁사의 커피를 테이블에 놓지 않아도 됐을 것이고, 형은 자신의
커피를 마셨을 것이고, 그들은 형이 아침 식사로 지불할 돈을 벌었을
거야."

수요일, 5월 09, 2007

150Mbps Cable Modem

미국의 가정은 아직도 대부분 인터넷을 위해서 Cable Modem을 사용한다. 주요 인터넷 사업자 중 하나가 comcast 인데 며칠전 (5월 초)에 라스베가스에서 150Mbps의 속도가 제공되는 Cable Modem을 발표하고 시연했다고 한다. "channel bonding"이라는 기술을 사용하는데 기존 Cable Modem이 하나의 TV channel을 사용했다면 이 기술은 네 개의 channel을 사용한다고 한다. 요즘 한참 한국에서 뜨고 있는 초고속 인터넷 기술인 "광랜"도 가정까지는 Fast Ethernet을 이용해서 100Mbps가 한계인 것으로 보면, 150Mbps라는 속도를 주목할 만 하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든다.

다음은 기사 중의 일부인데, 150Mbps의 속도를 피부에 와 닿게 잘 설명한 것 같아 인용했다.

In the presentation, ARRIS Group Inc. chief executive Robert Stanzione downloaded a 30-second, 300-megabyte television commercial in a few seconds and watched it long before a standard modem worked through an estimated download time of 16 minutes.

Stanzione also downloaded the 32-volume Encyclopaedia Britannica 2007 and Merriam-Webster's visual dictionary in under four minutes, when it would have taken a standard modem three hours and 12 minutes.

"If you look at what just happened, 55 million words, 100,000 articles, more than 22,000 pictures, maps and more than 400 video clips," Roberts said. "The same download on dial-up would have taken two weeks."

전체 기사는 여기에 있다.

월요일, 5월 07, 2007

미국 이야기.. (2)

지난 번에 미국의 교육에 관한 이야기를 적었는데, 한마디로 어려서부터 남을 배려하는 마음을 키우는 인성 교육이 미국 교육의 큰 축이었던 것 같다. 어제 뉴스를 보니 "빨간 노트"라는 것이 나오던데.. 초등학생들이 근처 문방구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것이란다. 뉴스의 내용을 듣자니 절로 오싹하면서 탄식이 나왔다. 혹시 "데스노트"라는 것을 아는지..? 일본 만화가 원작으로 얼마전 우리나라에 상영되기도 했다고 한다. 노트에 사람의 이름을 적으면 그 사람이 죽는다는 것인데.. 빨간 노트도 여기서 유래했다고 한다. 즉 자기가 싫어하는 사람이 있으면 (본인을 괴롭힌다던가 하는 여러 가지 이유로..), 그 사람의 이름을 적어서 이른바 "저주"하는 노트가 빨간 노트라고 한다. 노트에는 "희생양"의 끔찍한 형상의 스티커를 붙이고 몸의 어느 부위가 다쳐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표시하는 부분도 있었다. 집사람과 그것을 보면서 정말 믿기지 않았다. 세상에 아무리 싫어도 "저주"를 표현하고 그 사람이 죽기를 바라다니.. 그것도 초등학생들이.. 아무리 철이 없지만 무엇인가 많이 잘못되었다고 느꼈다. 나는 이것이 우리나라 교육의 현 실태인 것 같다. 미국이 좋고 우리나라는 나쁘다라는 간단한 논리는 아니다. 교육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요목조목 따져서 이런 것들 때문에 잘못되었어.. 라고 말하기도 어렵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이 (꽤 많이..) 친구들을 종종 경쟁자이상의 저주받을 대상으로 보는 것만은 틀림없는 것 같고, 이것이 과연 누구의 탓인가 생각하면.. 어디서나 1등을 해야 대우 받는 순위 경쟁 교육 때문이 아닌가.. 감히 생각해 본다.

장황하게 어제 뉴스에서 본 이야기를 쓴 것은 무척 충격을 받았기 때문이기도 하고, 오늘 쓸 이야기에 관련이 있기도 해서이다. 집사람과 같이 내가 느낀 미국의 또 다른 교육 특성은 바로 아이들을 "한 사람의 인격체"로 옳바르게 대우하고, 혼내서 바로잡는 것이 아닌 "칭찬 위주의 교육"을 한다는 것이다. 우리 딸인 태은이를 학교에 보내고 한 일 주일 정도 지나니, 폴더 (알림장)에 시간표 비슷한 것을 붙혀가지고 왔다. 한국에서는 못 보던 것이라 무엇인가 하고 신기하게 보고 있는데 같이 가져온 노트를 보니 "보물 상자 (treasure chest)"에 쓰는 것이란다. 보물 상자라.. 알고 보니 이 시간표 같은 것에 공란이 약 20여개가 있는데 하루 하루 무엇인가를 잘 할때마다 (남 도와주기, 공부, 기타등등) 스탬프를 1-3개 찍어 주는 것이었다. 그래서 스탬프가 꽉 차면~ 빙고~ 보물 상자를 열어서 그 중에 갖고 싶은 물건 하나를 마음대로 골라 갖는 것이었다. 야.. 이거참 내가 생각해도 나 어렸을 때 이런게 있었으면 정말 하고 싶었을 것 같다. 선물이 가득 담긴 상자를 열어서 그 중 하나를 갖는다면.. 정말 행복했을 것 같다. 보물 상자에 들어가는 물건들은 학부모가 학년 초에 같은 것으로 약 20여개정도 사서 보낸다. (나도 2학년 초에는 보냈다.) 값도 별로 비싸지 않아서 하나에 약 50 센트 정도되니까.. 약 10불 이면 다 살 수 있었다. 이런 장난감이나 학용품, 간단한 식품들은 "Dollar Tree"나 "Wall Mart" 같은 곳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었다.

비단 보물 상자 뿐만 아니다. West Hills에서는 독서를 매우 장려했는데, 하루에 한 번씩 부모 앞에서 15분간 책을 큰 소리로 읽으면 역시 부모가 "Book Stamp"에 서명을 할 수 있도록 했다. 그래서 이 것이 꽉 차면 아이는 도서실에서 열리는 피자 파티에 초대받을 수 있었고, 친구들과 신나게 어울리면서 맛있는 피자를 먹을 수 있는 즐거운 시간을 가질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었다. 이 두 가지가 보이는 것이라면 보이지 않는 것들도 많았다. 태은이에게 물어보니 무엇인가를 잘하면 정말 너무너무 과장되게 (우리나라 기준으로~) "Wonderful", "Great", "Good Job"하며 기를 살려주고, 만약 잘못한 일이 있으면 아주 큰 잘못이 아닌 이상, 혼나지 않고 먼저 왜 그렇게 하면 안되는지 차근차근 설명하고 다른 방법을 알려준다고 했다. 잘하면 확실하게 칭찬하고 잘못해도 무조건 혼내지 않는 교육.. 태은이가 학교가는 것을 왜 좋아하는지 알만 했다. 한 가지 놀라운 것은 선생님이 이렇게 가르치니 같은 반 친구들조차 서로 서로 칭찬하는데 인색하지 않다는 것이다. 조금만 예쁜 옷을 입고가도 달려와서 "Very pretty"를 연발하는 아이들, 다른 친구들이 공부를 잘해도 시샘하지 않고 축하해 주는 아이들, 우리나라의 현실하고는 조금 다른 것 같다. 빨간 노트에 대한 뉴스를 접하고 다시 생각하게 되는 미국 생활이었다. 물론 초등학교 저학년과 고학년은 다를 수 있고, 미국 교육에도 문제점이 분명 있을 것이다. 하지만, 얼마전 버지니아에서 일어난 조승희 사건 추모 현장에서 희생자 뿐만 아니라 가해자인 조승희에게도 추모의 편지와 꽃을 놓아두는 미국 학생들을 볼 때, 숱한 사회적인 문제에도 불구하고 과연 미국의 교육은 아직 대단하다는 생각을 지울 수 가 없다.

빨간 노트로 시작해서 그런지 조금 엄숙한(?) 분위기로 마무리를 한 것 같은데, 우리 나라의 사회 문제와 연관지으니 교육적인 면에서 어떤 부분을 우리가 좀더 생각해야 할 지 분명하게 드러나는 것 같다. 개인적으로 미국에서 느낀 점들을 미국에 있을 때 정리했어야 하는데 그러지 못해서 한국에서 정리하다보니 잊어버린 것도 있고, 생생하게 적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지만 나름대로 우리나라의 상황과 비교해서 적을 수 있다는 장점도 있는 것 같다. 앞으로도 생각나는 것들을 시간 나는대로 정리해 봐야 겠다. 쫑

금요일, 5월 04, 2007

신차 길들이기 [펌]

신차 길들이기에 관심이 있어서 여러 싸이트를 찾았는데 그 중 가장 눈에 쏙 들어오는 글이 있어서 올린다.
---

새차를 사면 소위 길들이기를 해야 한다고들 한다.
기계를 길들인다? 이게 무슨 말일까.. 알아보자..

자동차는 약 2만여개의 부품이 정밀하게 조립된 복합기계다.
각 부품은 정해진 자리가 있고, 정해진 운동 특성이 있고, 정해진 운동 유격이 있다.
움직이는 부품은(특히 자동차처럼 대부분 회전, 왕복운동인 경우) 움직임의 주파수와 부품의 모양, 크기 등에 따라 고유주파수가 정해지고 고유주파수에 맞게 움직이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고유주파수와 맞춰 움직임이 일어날때 부품이 알아서 찾아 정착하는 무게중심점이나 유격등이 조립시에는 정밀하게 맞출수 없다. 같은 차에 들어간 부품이라도 차에따라 그 조립상태의 생산 오차때문에 물리적 특성이 완전히 설계와 같은 경우가 절대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제자리라고 생각되는 위치에 최대한 맞춰 조립을 하게 되고 차량을 운행하다 보면 저절로 부품이 자기 자리를 찾는다.

모든 부품이 운동하고 진동하면서 자기가 평생(?) 살아갈 자리를 잡는게 바로,
차량을 길들인다는 것이다
.

[접기]

예전에는 조립기술이 안좋아 통상 5천킬로는 타야 길이 든다고 했는데 최근에는 조립기술의 향상과 부품생산 품질의 향상으로 1~2천킬로 이내에서 부품들이 대략 제자리를 찾는다고 한다.
그럼 어뜨케 해야 제자리를 잘 찾고 어뜨케 하면 제자리를 못찾을까?

위에 설명한대로 부품들이 계속 움직여야 제자리를 찾는건 당연하겠다.근데 물리학의 절대 깰수 없는 몇가지 법칙이 있는데 이중 하나가 관성의 법칙이다. 운동하는 것은 계속 운동하려 한다는거다.

이 법칙이 적용된다. 움직이는 부품을 제자리 찾을때까지 계속 움직이도록 해야 한다는 거다. 그것도 최대한 일정하게..

하지만 현실적으로 기름 한번넣고 2천킬로를 내리 달릴수 있는 차는 없다..ㅡ.ㅜ;;
그래서 최대한 움직임을 멈추는 시간이 짧도록 해 줘야 한다. 즉, 길들이기를 하는 동안은 (기름 아깝더라도) 많은 드라이브를 한적한 도로에서 즐겨주는게 좋다.

또 한가지 기억해야 하는것이 정속성이다.

위에 설명한 내용에서 고유주파수라는게 있다고 했다. 기계가 별 소음 없이 부드럽게 돌아가면 대부분의 부품이 고유 진동수 근처의 범위에 있다고 보면 쉽다. 고유진동수를 벗어나면 진동이 커져서 진동과 소음이 발생하니까 말이다..(이건 다중축 회전을 하기 때문이다)

그럼 과도한 소음이 유발되는 운전을 안하면 된다는 건데...
급가속 급감속이 길들이기의 최대의 적이 되겠다. 너무 상식적인가?
그럼 상식을 깰지도 모르는 걸 하나 말해보자..

천천히 가속하고 천천히 감속하면 길들이기에 실패한다
.
이게 무슨 말일까? ㅡㅡㅋ

회전운동을 하는 파이프가 있다고 하자(실제로 차에 이런 부품 여러종류가 있다).
이 파이프는 회전운동의 축을 중심으로 하는 1차 고유진동수가 있다. 이건 가속 감속의 영향을 안받는다. 근데 그 회전축이 보이지 않는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또 회전하게 된다. 그 축은 눈에는 잘 안보인다. 혹시 고등학고 물리나 지구과학 시간에 잠안자고-_- 공부했으면 기억할지도 모르는 세차운동과 비슷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 회전축 자체의 회전이동때문에 2차고유진동수가 생기는데 이건 가감속 패턴에 의해 많은 차이가 생긴다.
최적의 연비와 최적의 운동특성을 발휘할 수 있는 고유진동수가 사람이 알수 없는 물리학이 지배하는 자연계의 시스템에 결정되어 있지만 이 값을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는 것이다.
그럼 어떻게 운전해야 할까..

가감속이 필요할 때는 급가속이 아닌 과감한 가속, 급감속이 아닌 과감한 감속을 해줘야 한다. 그리고 가급적 가감속이 없는 운전을 해야 하는것은 당연하다.

도대체 과감한 가감속이란걸 몸에 익히기가 쉽지 않은데, 어쩌란 것인지 써놓고 보니 내가 봐도 참 어렵다;; 이게 어렵다면 이렇게 해 보자..

가속시에는 원하는 속도(교통 흐름을 탈때까지, 또는 70~80km정도의 경제속도에 도달할 때까지)까지 가속페달을 전체 깊이의 50~60%정도 깊이로 일정하게 밟아 가속한다. 수동변속 차량의 경우 변속 타이밍은 3,000rpm 근방에서 쉬프트업 한다. 가속이 다 되면 속도를 유지할때 브레이크보다는 악셀페달로 속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안전거리를 충분히 확보하면 밀리지 않는 길에서는 브레이크를 전혀 안쓰고도 어느정도 주행을 위한 가감속을 할 수 있다.

감속을 할 때는 브레이크 페달을 축구공 바람빼듯이 지긋~이 밟아서 감속한다. ABS장착 차량의 경우는 힘을 약간 줄인다. 브레이크 페달조작은 3박자 정도로 나누어 한다. "(밟고)뚜~(떼었다 밟고) 뚜우~(떼었다 밟고) 뚜우우우우우우~ (정지)" 이정도 박자 되겠다. 제동거리가 브레이크의 실제 제동성능보다 길어지므로 안전거리 확보는 필수 되겠다.

신차를 잘 길들여야 차도 오래 타고 기름값도 덜 든다. 또 차를 처분할때도 만원 한장이라도 더 받는다.

위에 언급된 여러가지 이유로 신차 길들이기를 할 때는 출퇴근길은 바람직하지 않다.
새차가 너무 사랑스럽고 자랑하고 싶어도 며칠만 출퇴근길 보다는 주말에 한적한 도로를 골라 드라이브를 즐겨보자.

출처 : http://basher.pe.kr/tt/lumi/30

목요일, 4월 19, 2007

Flat Form

ZDNet에 IT 평론가인 김국현씨가 쓴 좋은 글이 있는데 플랫폼이 어떤 의미인지 한번 생각해 보게 하는 글인 것 같아, 한 부분을 발췌하였다.

--- Start of Line ---

어느 IT 기업이나 불리고 싶은 말이 있다. 바로 '플랫폼'이란 말. 자신이 다른 누군가의 플랫폼이 되기를 간절히 바라는 것. 플랫폼 컴퍼니는 모두의 꿈이다. 누구에게 플랫폼은 운영체제였고, 누구에게는 API가 달린 검색 엔진이었고, 또 누구에게는 자바나 플래시와 같은 런타임이었다. 하부의 다양성을 자신 밑에 깔아 버리는 평평한 마당이 되어, 그 위에서 새로운 판을 벌이기를 바라는 것. 그 한 판 놀이에 엄청난 기회가 있음을 성공한 플랫폼 컴퍼니 들은 몸소 증명했고, 플랫폼은 그렇게 경제적 관념이 되었다. 따라서 이 업계에서 플랫폼이란 단어가, 자동으로 돌아 가는 불로소득의 메커니즘이라는 속물적 의미로 쓰이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플랫폼은 '평평한 장소'라는 프랑스어에서 생겨난 단어다. '평평하다'는 말을 들으면 '세계는'이란 주어가 나도 모르게 떠오르는 요즈음, 여기에 '플랫폼으로서의 웹'이라는 작금의 화두를 더하면 플랫폼이란 결국 '평평한 이상계'라 풀이된다. 웹은 처음으로 평평한 이상계를 실현한 하나의 공간이라는 사실. 우리는 이 사실에 그렇게도 열광했다. 뿐만 아니다. 플랫폼에는 나만의 주장을 펼치기 위한 연단이라는 뜻도, 그리고 길 떠날 열차를 기다리며 까치발 하게 하던 그 승강장의 의미도 있으니 알고 보면 참 낭만적 단어다.

그런데 진작에 깔렸어야 할 플랫폼이 아직 제자리를 못 잡고 있는 곳이 있다. 그 곳은 의외로 무선의 세계. 무선이라는 동네는 전파라는 공공재에 의존하고 있기에 전파 면허라는 제도적 안도감, 그리고 대규모의 장치 설비 투자를 보전하기 위한 명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 폐쇄적 시스템은 있을지언정, 누구에게나 평평한, 누구나 올라 가 주장을 펼칠 수 있는, 그리고 미래로 가는 열차에 누구나 올라탈 수 있는 승강장은 나타나지 못했다.

특히 한국의 무선 시장은 유별나다. 다른 나라에서는 찾아 보기 힘든, 물리적 네트워크에서 문화적 콘텐트까지 완전 수직 통합된 초거대 사업자가 플랫폼을 자처하고 나서지만, 이 플랫폼에 올라타기 위해서는 그 결정권자와 바늘구멍 같은 파트너십을 맺기 위해 넓디 넓은 접견실에서 순서를 기다려야만 했다. 그들의 플랫폼은 그들의 소유였고 대체재는 존재하지 않는다. 플랫폼이 강요되는 시장이다. 그리고 그렇게 강요된 플랫폼은 어느새 하나의 감옥이 되어 버린다.

‘플랫폼으로서의 웹’에서 암시된 희망의 플랫폼이란, 플랫폼 담당자의 윤허 없이, 바꿔 말해 초월적 정리자의 허락 없이도 누구나 그 위에서 새로운 혁신을 일으킬 수 있는 터전을 의미한다. 구글의 비상도, 마이크로소프트의 변화도, 어도비의 야심도 모두 같은 곳을 바라보고 있는 것이니 그 것은 바로 그러한 평평한 터전, 열린 플랫폼이다. 플랫폼은 만인에게 조건이 아닌 기회가 되어야 한다. 플랫폼은 이 땅의 작은 날갯짓이 전 세계의 소용돌이를 일으킬 기회가 되어야 한다. 그러나 한국의 무선 시장은 전 세계의 소용돌이로부터 자신의 날갯짓을 지킬 줄만 알았다

<중략>

--- End of Line ---

전문은 여기에

화요일, 4월 10, 2007

미국 이야기 몇 가지..(1)

이제 미국에서 귀국해서 연구원에 복귀한 지도 약 2-3주 정도 되었다. 돌아오자 마자 집 정리, 차 구입, 전화, 인터넷, 기타 등등.. 분주한 나날을 보내고 연구원에 복귀하니 분위기가 참 많이 바뀌었다. 첫 몇 일은 인사하느라 보내고.. (아직도 할 사람이 많이 남았네.. 생각해 보니.. -_-;;) 연구원에서 사람들을 만나니 대부분 하나도 안 변했네.. 혹은 미국 생활은 어땠어.. 라고 물어보는 데, 사실 미국에서 경험한 것 중 출장같은 단기간의 여행을 통해서는 도저히 얻을 수 없는 것도 많았다. 미국에서 경험한 일들을 잊어 버리기 전에 기록도 해 놓을 겸, 몇 가지 생각나는 것을 적어 본다.

1. 아이 학교

사실 미국에 가기 전까지 내가 그렇게 아이 교육에 관심이 많은 지 미처 몰랐다. 작년 3월 말에 미국의 Knoxville (낙스빌)에 도착하자 마자 아파트를 구한 후, "International School Office"가 있는지 알아 보았다. 출국 전에 알아본 바로는 미국은 대부분 우리나라의 "구" 정도 되는 "county"에 오피스가 있어서 해당 지역의 학교들을 총괄한다고 들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막상 도착해서 알아보니 그런 오피스는 없고, 가장 가까운 학교에 그냥 가면 된다고 했다. 부랴부랴 관련 서류 (아이 신체검사 (physical checkup) 기록, 한국에서 가져간 예방 주사 기록표 등)을 준비해서 제출하고, 선생님 소개 받고, 딸 아이를 1학년 2학기에 입학시키고 나니 휴~ 하는 느낌이 들었다. Knoxville의 초등학교는 한 학년을 5월 중순/말 경에 마치고 다음 학년은 긴 여름 방학후에 9월에 시작한다. 그래서 딸 아이가 한국에서는 2학년을 마쳤지만 만 나이를 계산해서 1학년 2학기에 입학하게 되었고 학교 이름은 West Hills Elementary였다.

딸아이를 학교에 매일 데려다 주고 pickup하면서, 매일 숙제 (꽤 많았다.. ) 도와 주고 책 읽어주면서, 그리고 이런 저런 학교 행사에 참여하면서 느낀 점이 몇 가지 있었다. 한 마디로 미국 초등학교와 우리 나라 초등학교는 "정말 다르다"라는 것이었는데, 사실 고백하건데 한국에서는 딸아이가 다녔던 초등학교에 거의 참여를 못 했기 때문에 "다른 점"은 상당 부분 집 사람이 느낀 점을 옮겨 적었다.

미국에서 솔직히 개인적으로 힘들었던 점 중 하나는 한국에서 거의 안하던 아이 돌보기를 내가 어느 정도 해야 했다는 것인데, 아침 7시 20분이면 아이를 태우고 학교로 출발, 약 15분쯤 운전해서 데려다 주고 나서 다시 파견지 (오크리지 국립 연구소, 이하 ORNL)로 출발했다. 그리고 2시 20분 경에 다시 학교로 가서 아이를 pickup한 후 집에 갔다가 ORNL로 가거나 혹은 재택 근무를 했는데, 이게 처음에는 할 만 하더니 시간이 가면 갈 수록 쉽지 않은 일이 되었다. 물론 이렇게 하면서 딸 아이와 훨씬 더 많이 가까와 졌고, 학교 주변 상황에 대해서 많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니, 참 모든 일에는 trade-off가 있는 모양이다. 아침에 아이를 데려다 줄 때 한국과는 (일반적으로) 다른 점 하나가 있었으니, 선생님들이 직접 학교 앞에서 등교 지도를 한다는 것이 첫 번째, 두 번째는 5학년 (미국은 5학년이 초등학교에서 제일 높다.) 학생들이 이른바 "police" 역할을 하여 도착한 차 문 열어 주기, 아이들이 교실로 제대로 가도록 지도하기 등등의 일을 한다는 것이다. 참 신선한 광경이었는데 겨울에 추울 때는 그런 아이들이 안쓰럽기도 했다. 아무튼 아침 마다 학교 선생님들과 손 인사 하고 (나는 차 안에서..) 경찰 학생들에게는 "Have a good day!"라는 인사를 듣는 것이 나쁘지만은 않았다 . ^^

내가 있었던 곳이 미국의 한 지역일 뿐이고, 따라서 내가 경험한 일들이 미국의 모든 학교에 적용되는 것은 당연히 아니다. West Hills Elementary에서 경험한 일들을 적을 뿐, 솔직히 바로 옆에 이웃한 학교 조차 어떻게 돌아가는지 잘 모른다. 아마도 비슷할 거라고 추측은 되지만.. 아무튼 본론으로 들어가서, 우리 가족이 느낀 미국 초등학교의 다른 점을 한번 정리해 본다. 한 반의 학생 수가 적다거나.. 선생님이 친철하다거나.. 하는 일반 적인 것들이 빼기로 한다. 먼저 교실안의 책상 배치가 다르다. 우리나라의 (국공립) 초등학교는 아마도 거의 대부분, 반의 모든 책상들이 교단을 바라보는 자세로 정렬되어 있을 것이다. West Hills Elementary는 조금 다른데, 약 18-19명 3-4명 정도가 한 조가 되어 하나의 책상을 공유했다. 이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 처음 교실을 봤을때, 어려서부터 자연스럽게 대화하고 서로 돕는 습관이 자리 잡히는데 도움이 될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선생님에게도 물어보니 비슷한 말을 했다. West Hills 같은 경우 (아마도 거의 대부분의 미국 초등학교가 이럴 것 같은데~), 아이들이 서로 돕고 존중하는 것을 가장 우선적으로 가르쳤다. 우리나라 같으면 "뭐 이정도 가지고.. " 할만한 일들도 대부분 지적받았는데, 예를 들어 앞의 아이를 장난삼아 툭툭 친다거나 줄 서 있다가 조금 떠미는 일 들도 "걸리면" 부모에게 전달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선생님이 이런 일들을 발견하면 아이들을 지도하겠지만, 일반적으로 부모에게 그런 것 까지 전달하지는 않는 것 같다. 그렇지만 미국은 달랐는데 처음에는 참 적응 안되는 일이었다. (우리 딸아이도 비슷한 장난하다가 지적받아서 선생님이 "노트"를 보낸 적이 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니 왜 그런지 조금씩 이해가 가기 시작했다. 그렇게 작은 일부터 확실히 지적하고 고쳐나가니, 더 큰 싸움이 일어나지 않더라는 것이다. 어려서부터 폭력이나 남을 귀찮게 하는 일 (작은 것 조차도)이 나쁘다는 것을 확실히 교육시킨다고 할까.. 아무튼 교내에서 아이들이 주먹다짐 하는 일은 정말 엄청나게 나쁜 일로 인식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상대적으로 아이들의 다툼이 흔한 일이고 별 것 아닌 것으로 생각되지만, 한편으로 생각하면 미국의 교육에 절로 고개가 끄덕여진다. 일찌감치 서로 돕고 대화하며 상대방을 존중하는 습관을 들이는 교육.. 이것이 사소한 일에도 "excuse me"하며 양해를 구하고 (상대적으로) 많이 양보하는 문화로 발전한 것은 아닐런지? 아무튼 이것이 정말 큰 차이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글을 쓰다보니 시간이 많이 지났다. 점심먹고 잠시 짬을 내어 적고 있었는데 이제 다시 일로 돌아가야 할 시간이 되었다. 몇 가지 쓰고 싶은 이야기가 더 있는데 다음을 기약하며 오늘은 이만 정리 한다. 학교 이야기가 끝나면 아래의 내용을 틈틈히 적어보겠다. 쓰다보니 미국의 생활이 좀 그립기도 한데.. ^^ 기억을 보존(?)하는 차원에서 앞으로도 틈틈히 시간을 내야겠다.

-- 계속 적어보고 싶은 내용 --

2. 테네시주 운전면허증

3. 방사선 탐지기

4. 기타

- 미국 업무 분위기 (같이 일한 사람들, 출장 등..)
- 자동차 구입 & 팔기
- iPod & iTunes & Mac
- 가족 여행 (계획 잡기, 여러 가지 예약, 기타..)
- 쇼핑 (몰, 슈퍼 마켓, 대형 할인 마트 등)
- 음.. 몇 가지 더 있는 것 같은데 지금은 생각이 안남.. ㅋ

월요일, 4월 09, 2007

RSS와 Podcast

RSS는 무엇인가? RSS는 한 마디로 뉴스나 블로그 같은 웹의 콘텐츠를 직접 방문하지 않고,편리하게 받아볼 수 있는 배포 (Syndication) 기술이다. RSSReally Simple Syndication 혹은 Rich Site Summary의 약자로, 특정 리더 프로그램 (구글 리더 등)을 통해서 XML 콘텐츠를 구독 (subscription)할 수 있게 해준다. 한마디로 RSS는 차세대 웹 (Web 2.0)상의 기본적인 소통의 방식이다. 예를 들어 자신의 블로그의 RSS를 만들고 공개하면, 누구나 자유롭게 RSS 주소를 긁어가서 콘텐츠를 구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Podcast는 애플의 iPod "방송 하다"의 의미인 Broadcasting의 합성어이다. 의미를 그대로 본다면 iPod을 위한 인터넷 방송 정도 될 것 같은데, 실제 메커니즘은 생각과는 약간 다르다. IPTV와 같이 특정 채널을 단말에 전송하는 방식이 아니라, RSS와 같이 구독하는 방식이다. RSS가 텍스트 기반이라면 iPod는 멀티미디어 기반의 Web 2.0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podcast를 받기 위해서는 iTunes같은 전용 리더를 이용해서 RSS 피드와 같은 방식으로 구독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가장 최신의 데이터를 특정 싸이트에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언제든 쉽게 받아 볼 수 있다. 물론 podcast.net과 같은 싸이트에서도 podcast를 이용할 수 있다.

수요일, 3월 14, 2007

세상에서 끈기를 대신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예병일의 경제노트, 2007.3.13)

끈기에 관한 캘린 쿨리지 대통령의 명언이 얼마나 많은 중역실에
걸려 있을까. 그 명언을 액자에 넣어 벽에 걸어놓는 것은 쉬운
일이다. 그러나 실천은 결코 쉽지 않다.

아버지와 나는 이번에도 하워드 사퍼(전 뉴욕 경찰청장,소방대장)를
떠올렸다. 쿨리지의 조언을 생활 속에서 실천한 인물이기 때문이다.
만약 사퍼에게 어떻게 그렇게 철저히 실천할 수 있었는지 묻는다면,
그는 강철 같은 끈기 덕이었다고 말할 것이다. 그는 이렇게 말한 바
있다.

"나는 다른 사람들이 원하지 않는 일에 자원했다. 야간이나 주말에
끝내야 하는 업무가 생기면 내가 그 일을 하겠다고 자원했다."
그가 항상 험한 일에 자원했던 이유는 게임에 참여하지 않으면
아무런 성과도 얻을 수 없다는 믿음 때문이었다. 그는 덧붙였다.
"필요한 일이라면 무엇이든 기꺼이 시도하여 승리를 거두어야
한다."

구글 애드센스가 무서운 이유

김중태 문화원 블로그

Jordon's Top 10 Plays

마이클 조던.. 1992년인가.. 시카고 불스와 뉴욕 닉스와의 경기를
보고 홀딱 반했지요. 조던의 묘기는 셀 수가 없지만 Top 10을
올려 놓았군요. 개인적으로는 No. 2가 제일 멋있습니다.
(아래 어록은 보너스 입니다~ ^^;)

-----

나는 지금까지 9000번도 넘게 슛을 성공시키지 못했다....
나는 지금까지 300번도 넘게 경기에서 져봤다...
사람들이 나를 믿어 주었을 땐, 26번이나 결정적인 슛을 실패했다.
나는 계속 실패하고,실패하고, 또 실패했다.
그것이 내가 성공한 이유다.

- 마이클 조던 -




미국에서 피할 수 없는 3 가지는 세금. 죽음. 마이클 조던이다.
그는 스포츠 선수가 아닌..하나의 문화이자 미국의 상징이었다.

- 뉴욕타임즈에서 36세 조던의 두번째 은퇴사실을 보도하며



마이클 조던이 36세에 은퇴를 선언했을 때 백악관에서 국무부 관리들과
중동현안에 대해서 안보회의를 하던 빌 클린턴은 즉시 회의를 중지하고
긴급기자회견을 열어서 코트를 떠나는 영웅에게 경의를 표시했었다.

"마이클 조던의 은퇴가 정말로 아쉽다.나는 그를 정말로 존경한다.
그는 완벽한 신체와 영혼을 지닌 위대한 스포츠 맨이었다."

- 미합중국 전대통령 빌 클린턴



너무 좋네요. 싸인 좀 해주세요.

- 조던을 만난, 브라질의 스트라이커 호나우두



당신은 그냥 조던이 아니에요. 마이클 조던이잖아요.

-오프라 윈프리



마이클 조던, 만리장성

-중국의 청소년 설문조사, 무엇이 위대한가라는 질문에



최고의 수비능력을 자랑했던 218cm의 올스타 센터 디켐베 무톰보.

그가 NBA에 의기양양하게 입성한 신인시절, 시카고와의 첫경기.

무톰보는 득점왕인 조던을 악착같이 막아보려다가 파울을 범했다.

조던은 무톰보를 가리키더니 갑자기 눈을 감고서 자유투를 던졌고,

놀랍게도 깨끗이 성공시킨 후 윙크를 하며 말했다.

.........."Welcome to the NBA"



조던은 경기종료를 몇 초 남기지 않은 상황에서 슛을 쏘는게
두렵지 않나라는 기자들의 질문에 이렇게 대답했다.
"전혀요. 수천번,수만번도 넘게 던져 본 슛인걸요."



마지막 2분을 남겨놓고 경기가 초긴장의 상황으로 접어들 때

내가 어떤 다른 선수들보다도 유리하다고 느낀다."

- 조던



1996년, 불스가 플레이오프에서 올랜도 매직을 꺽은후,

마이클이 귓속말로 내게 말했다

"거기서 끝까지 버티고 절대로 아래로 내려오지 말게,
자네 시대가 오고있어"

나는 그 말을 결코 잊을 수가 없었다

- 샤킬오닐 -



993년 바클리와 피닉스 선즈에 대항해 싸우던 날,

방송인 닉 핀토는 테이프를 전달하려고 이른 오후에

시카고 스타디움을 찾았다.

그런데 경기가 시작되려면 아직 몇 시간이나 남았는데도

코트에 마이클 조던이 나와 있었다.

"종일 나와서 자유투 연습을 하고 있어요"

-경비원의 말이었다.



오늘날의 마이클을 만든 건 연습이에요.

그는 날마다 자신이 최고란 걸 보여주어야 했죠.

그것은 마이클의 일부가 되었어요.

어떤 선수들은 밤 연습을 빼먹고

어떤 선수들은 낮 연습을 빼먹었지만,

마이클은 연습을 빼먹은적이 한 번도 없었어요.

재능이 문제가 아니에요.

그런 연습이야말로 그를 모든 선수들의 위에 올라서게 한 거죠.

- 덕 콜린스(전 시카고불스 감독)



내가 아는 선수들 중에 계약서에

'농구가 좋아서'를 조항으로 넣은 선수는 조던밖에 없다.

- 팻 윌리암스



조던은 주위의 모든 사람들에게 열정을 심어주었다.

전날 경기에서 아무리 오래 뛰었어도,

아무리 많은 득점을 했어도 그는 연습에 빠지는 법이 없었다.

우리는 그런 자세, 그런 모범을 따르지 않을 수 없었다.

- 스콧버렐(NBA선수)



불스의 연습장에 들어갈 때에도 입장료를 내야 하는게 맞습니다.

실제 경기에서보다 연습장에서

마이클의 진면목을 더 잘 볼 수 있으니까요.

8일동안 다섯 경기를 뛴다고 해도 상관없었어요.

마이클은 항상 그날이 유니폼을 입는 마지막 날인것처럼

지독하게 연습했습니다.

- 에드닐리(과거 시카고멤버)



"전 나중에 제 손자에게 자랑할 것입니다 '이 할아버지는 옛날
저 황제와 같은 코트에서 뛰었단다'라고 ... "

- 조던의 두번째 은퇴식때 샤킬 오닐



------ Michael Jordan -----


NBA 우승 6회

NBA Finals MVP 6회(1991~1998)

NBA Season MVP 5회

NBA 득점왕 10회 (1987~1998)

NBA 역사상 유일한 7년연속 득점왕

NBA All-Star MVP 3회(1988, 1996, 1998)

NBA Slam Dunk 챔피언 2회(1987, 1988)

올림픽 금메달 2회(1984 LA , 1992 바르셀로나)

NCAA 미국 대학농구 최우수선수(1983)

NBA 최우수 신인상(1985)

- 1984년부터 2003년까지 NBA 선수로 뛰는 동안 역대평균득점 1위

- 그는 역사상 가장 위대한 농구선수이며, 스포츠맨이고, 영웅이다.

- 마이클 조던의 찬란한 업적과 영혼은 앞으로도 영원할 것이다.

- Come Fly With Me !! Mike!!


Jordon's Top 10 Plays - Clik here!

금요일, 3월 02, 2007

인재의 조건 Ph.D... 가난하고(poor), 배고프고(hungry), 열망이 깊은 (deep) 사람

(예병일의 경제노트, 2007.3.2)

마리오 가벨리가 밝히는 인재관을 들어보면 그가 어린 시절에
겪었던 가난의 경험이 오히려 인생을 진지하게 사는 데 큰 발판이
됐음 을 짐작할 수 있다.

"나는 꼭 Ph.D(박사학위) 출신만 채용하려고 애씁니다. 내가
원하는 사람은 가난하고(poor), 배고프고(hungry), 성공에 대한
열망이 깊은(deep) 사람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