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요일, 4월 19, 2007

Flat Form

ZDNet에 IT 평론가인 김국현씨가 쓴 좋은 글이 있는데 플랫폼이 어떤 의미인지 한번 생각해 보게 하는 글인 것 같아, 한 부분을 발췌하였다.

--- Start of Line ---

어느 IT 기업이나 불리고 싶은 말이 있다. 바로 '플랫폼'이란 말. 자신이 다른 누군가의 플랫폼이 되기를 간절히 바라는 것. 플랫폼 컴퍼니는 모두의 꿈이다. 누구에게 플랫폼은 운영체제였고, 누구에게는 API가 달린 검색 엔진이었고, 또 누구에게는 자바나 플래시와 같은 런타임이었다. 하부의 다양성을 자신 밑에 깔아 버리는 평평한 마당이 되어, 그 위에서 새로운 판을 벌이기를 바라는 것. 그 한 판 놀이에 엄청난 기회가 있음을 성공한 플랫폼 컴퍼니 들은 몸소 증명했고, 플랫폼은 그렇게 경제적 관념이 되었다. 따라서 이 업계에서 플랫폼이란 단어가, 자동으로 돌아 가는 불로소득의 메커니즘이라는 속물적 의미로 쓰이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플랫폼은 '평평한 장소'라는 프랑스어에서 생겨난 단어다. '평평하다'는 말을 들으면 '세계는'이란 주어가 나도 모르게 떠오르는 요즈음, 여기에 '플랫폼으로서의 웹'이라는 작금의 화두를 더하면 플랫폼이란 결국 '평평한 이상계'라 풀이된다. 웹은 처음으로 평평한 이상계를 실현한 하나의 공간이라는 사실. 우리는 이 사실에 그렇게도 열광했다. 뿐만 아니다. 플랫폼에는 나만의 주장을 펼치기 위한 연단이라는 뜻도, 그리고 길 떠날 열차를 기다리며 까치발 하게 하던 그 승강장의 의미도 있으니 알고 보면 참 낭만적 단어다.

그런데 진작에 깔렸어야 할 플랫폼이 아직 제자리를 못 잡고 있는 곳이 있다. 그 곳은 의외로 무선의 세계. 무선이라는 동네는 전파라는 공공재에 의존하고 있기에 전파 면허라는 제도적 안도감, 그리고 대규모의 장치 설비 투자를 보전하기 위한 명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 폐쇄적 시스템은 있을지언정, 누구에게나 평평한, 누구나 올라 가 주장을 펼칠 수 있는, 그리고 미래로 가는 열차에 누구나 올라탈 수 있는 승강장은 나타나지 못했다.

특히 한국의 무선 시장은 유별나다. 다른 나라에서는 찾아 보기 힘든, 물리적 네트워크에서 문화적 콘텐트까지 완전 수직 통합된 초거대 사업자가 플랫폼을 자처하고 나서지만, 이 플랫폼에 올라타기 위해서는 그 결정권자와 바늘구멍 같은 파트너십을 맺기 위해 넓디 넓은 접견실에서 순서를 기다려야만 했다. 그들의 플랫폼은 그들의 소유였고 대체재는 존재하지 않는다. 플랫폼이 강요되는 시장이다. 그리고 그렇게 강요된 플랫폼은 어느새 하나의 감옥이 되어 버린다.

‘플랫폼으로서의 웹’에서 암시된 희망의 플랫폼이란, 플랫폼 담당자의 윤허 없이, 바꿔 말해 초월적 정리자의 허락 없이도 누구나 그 위에서 새로운 혁신을 일으킬 수 있는 터전을 의미한다. 구글의 비상도, 마이크로소프트의 변화도, 어도비의 야심도 모두 같은 곳을 바라보고 있는 것이니 그 것은 바로 그러한 평평한 터전, 열린 플랫폼이다. 플랫폼은 만인에게 조건이 아닌 기회가 되어야 한다. 플랫폼은 이 땅의 작은 날갯짓이 전 세계의 소용돌이를 일으킬 기회가 되어야 한다. 그러나 한국의 무선 시장은 전 세계의 소용돌이로부터 자신의 날갯짓을 지킬 줄만 알았다

<중략>

--- End of Line ---

전문은 여기에

댓글 1개:

익명 :

Hello, all is going sound here and ofcourse every one is sharing data, that's actually good, keep up writing.

my site; reklamy lubin